농부가 꿈인 미찌

논어 학이편 3장~6장 본문

일상

논어 학이편 3장~6장

농부미찌 2025. 2. 2. 15:48

 

3장

 

子曰 “巧言令色이 鮮矣仁이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곱게 꾸미는 사람들 중에 인(仁)을 행한 이가 드물다.”

 

巧 기교 교 / 言 말씀 언 / 令 꾸밀(명령, 하여금) 령 / 色 빛(얼굴) 색 / 鮮 적을(신선) 선 / 矣 어조사(종료사) 의 / 仁 얼질 인

 

 

 

4장

曾子曰 “吾日三省吾身하노니 爲人謀而不忠乎아 與朋友交而不信乎아 傳不習乎아이니라”

 

증자가 말씀하셨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 점에 대해 자신을 반성한다. 남을 위해 일을 꾀하며 진심을 다하지 않았는가? 친구와 사귀며 신의를 지키지 않았는가? 전해 받은(배운) 것을 제대로 익히지 않았는가에 대해서이다.”


曾 일찍 증 / 吾 나 오 / 日 날 일 / 三 셋 삼 / 省 살필 성 / 吾 나 오 / 身몸 신 / 爲 위할 위 / 謀 꾀 모 / 忠 충성(진심) 충 / 乎 어조사(의문조사, 감탄조사) 호 / 與 더불어(~과, ~와) 여 / 朋 벗 붕 / 友 벗 우 / 交 사귈 교 / 信 믿을 신 / 傳 전할 전 / 習 익힐 습

증자: -505~-435. 성은 증(曾), 이름은 참(參), 자는 자여(子輿). 공자의 적통을 이어받아 ‘종성(宗聖)’이라 불림. <논어> 편집에 참여하고, <대학(大學)>과 <효경(孝經)>을 지음.

 

 

 

5장

 

子曰 “道千乘之國하되 敬事而信하며 節用而愛人하며 使民以時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천승(千乘)의 나라를 다스릴 때 일을 신중하게 처리하고 신뢰를 두며, 씀씀이를 절약하고 사람들을 사랑하며, 백성들을 역사(役事)에 동원할 때 철에 맞춰야 한다.”

 

道 다스릴(길, 도리) 도 / 乘 군사단위(탈) 승 / 國 나라 국 / 敬 공경 경 / 事 일 사 / 信 믿을 신 / 節 절약(마디, 절개) 절 / 用 쓸 용 / 愛 사랑 애 / 使 부릴(하여금) 사 / 民 백성 민 / 時 때 시
 

 

 

 

6장


子曰 “弟子, 入則孝하고 出則悌하며 謹而信하며 汎愛衆하되 而親仁이니 行有餘力이어던 則以學文이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제들이 집에 들어가서는 효도하고 밖에 나가서는 공손하며, 근실하면서 신의를 지키고, 사람들을 널리 사랑하되 현자를 가까이해야 한다. 이처럼 실천에 집중한 뒤 여력이 생기면 글을 배워야 한다.”

 

弟 아우 제 / 入 들 입 / 則 ~면 즉(법칙 칙) / 孝 효도 효 / 出 나갈 출 / 悌 공손 제 / 謹 삼가할 근 / 信 믿을 신 / 汎 널리 범 / 愛 사랑 애 / 衆 무리 중 / 親 친할 친 / 餘 남을 여 / 力 힘 력 / 以 써(~함으로) 이 / 學 배울 학 / 文글 문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대문 학이편 2장  (0) 2025.01.22
논어대문 학이편 1장  (1) 2025.01.14
고랑이랑 요리수업  (0) 2025.01.09
25년 1월 고랑이랑 공부모임  (2) 2025.01.05
고은밥상 이야기  (2)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