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한국산림아카데미재단
- 군자의 근본
- 고랑이랑
- 마을공동체
- 외암마을
- 공부머리 독서법
- 논어
- 마을기자
- 10분 독서
- 10분 책읽기
- 공부머리_독서법
- 학이 3장
- 요리조리
- 훈훈당
- 유아숲지도사
- 거산초
- 마을신문
- 유자왈
- 학이 4장
- 하루 10분 책읽기
- 학이 5장
- 한상열교수
- 아산시
- 하루 10분 독서
- 아산
- 학이
- 학이 6장
- 산림교육
- 공자
- 고은밥상
Archives
- Today
- Total
농부가 꿈인 미찌
논어대문 학이편 1장 본문
論語大文
學而第一 凡十六章
一章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悅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배우고 수시로 익히면 뿌듯하지 않은가
친구가 멀리서 찾아오면(남들로부터 인정을 받으면) 즐겁지 않은가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다고 불만을 갖지 않는다면 또한 군자답지 않은가.
논어
성립시기 : 춘추(春秋 , -770~430) 후기에서 전국시기(戰國時期, 430~221)
성립과정 : 공자의 제자(중궁仲弓, 자유子游, 자하子夏, 자공子贡 등) 및 재전(再傳) 제자(맹자 포함)들이 공자와 공자 제자들의 말과 행동을 구어체로 서술함.
내용 : 정치, 교육, 문학, 철학, 수양, 처세 윤리 등
20편(「학이(學而)」… 「요왈(堯曰)」), 492장.
공자가 제자 및 여타인들과 나눈 담론이 444장, 공자의 제자들끼리 나눈 담론이 48장.
조선의 논어 관련 저서
퇴계 이황 - 논어석의(論語釋義)
사계 김장생 - 논어변의(論語辯疑)
우암 송시열 - 논맹혹문정의통고(論孟或問精義通攷)
공자 :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무관의 후예. 학자이자 정치가
공자학단의 대표. 3천 명의 제자 양성.
자신의 학문을 실현하기 위해 각 국의 통치자를 찾음.
신본주위에서 인본주위로 전환한 동양철학의 지주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학이편 3장~6장 (0) | 2025.02.02 |
---|---|
논어대문 학이편 2장 (0) | 2025.01.22 |
고랑이랑 요리수업 (0) | 2025.01.09 |
25년 1월 고랑이랑 공부모임 (2) | 2025.01.05 |
고은밥상 이야기 (2)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