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공부머리_독서법
- 산림교육
- 10분 독서
- 10분 책읽기
- 유아숲지도사
- 마을기자
- 군자불중이면
- 마을공동체
- 친환경농산물
- 고은밥상
- 고랑이랑
- 논어
- 공부머리 독서법
- 학이 6장
- 아산
- 자하왈
- 한상열교수
- 하루 10분 책읽기
- 요리교실
- 한국산림아카데미재단
- 외암마을
- 학이
- 공자
- 훈훈당
- 거산초
- 하루 10분 독서
- 현현하되역색하며
- 아산시
- 마을신문
- 요리조리
Archives
- Today
- Total
농부가 꿈인 미찌
논어 학이편 7~8장 본문
7장
子夏曰
자하왈
자하가 말하였다.
賢賢하되 易色하며
현현하되 역색하며
현자를 현자로 대할 때 여색(女色, 이성)을 좋아하듯 하고
事父母하되 能竭其力하며
사부모하되 능갈기력하며
부모를 섬길 때 가진 힘을 다하고
事君하되 能致其身하며
사군하되 능치기신하며
임금을 섬길 때 몸을 다 바치고
與朋友交하되 言而有信이면
여붕우교하되 언이유신이면
벗과 사귈 때 말에 믿음이 있다면
雖曰未學이라도 吾必謂之學矣라하리라
수왈미학이라도 오필위지학의라 하리라.
비록 배운 게 없다고 해도 나는 반드시 배운 사람이라 할 것이다.
자하(子夏): -507~-400. 성은 복(卜), 이름은 상(商), 자하는 자(字). 공자의 10대 제자. 학술에 특출함.
8장
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不重이면 則不威니 學則不固니라
군자불중이면 즉불위니 학즉불고니라
군자가 무게 있지 않으면 위엄이 없으니 (그런 태도로는) 배워도 견고하지 못하다.
主忠信하며
주충신하며
충성과 신의에 주안점을 둬야 하고,
無友不如己者요
무우불여기자요
자기보다 못한 이를 벗으로 사귀지 말아야 하고,
過則勿憚改니라
과즉물탄개니라
잘못이 있으면 바로잡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